[new] 이윤은 단지 잉여가치에서만 창출되는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12:42
본문
Download : 이윤과 잉여가치.hwp
그리고 다음과정에서 다른 자본가는 이를 더 비싸게 해서 판다. 그런데 분명한 건 유통과정에서도 가치가 창출되고 가치가 증가한만큼 사회적 노동시간만큼의 가격을 더 받는 건 당연하지 않는가? 너무 많이 받기 때문인가? 그러면 많이 받는 가격은 결국 소비자 부담이겠고. 잘 안된다. 그들은 자기들이 공장을 갖고 있으니까 당연히 그 과정에서 발생한 이익은 자기들 몫이라고 말한다. 그건 왜냐하면 자본가가 공장에서 노동자를 착취하고 그 과정에서 잉여가치가 발생하고 그 잉여가치를 자본가가 부당하게 착복하기 때문일것이다 (?)
2.노동력의 상품화란? 무노무임?
이윤은 단지 잉여가치에서만 창출되는가?
다. 그건 제로썸 게임에 의해 어디선가 누군가가 손해를 보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면 손해보는 사람은 누구일까? 부등가 교환에 의한 소비자들일까? 부등가 교환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소비자는 손해를 보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부등가 교환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소비자는 손해를 볼 것이다.
이윤은 단지 잉여가치에서만 창출되는가?
자본주의사회에서 자본가는 싼값에 원료를 사서 그보다 비싸게 판다. 아니 자본가는 이익을 볼 것이다. 기계는 단지 기계가 가지고 있는 가치를 감가상각비만큼만 상품에 옮겨놓을뿐이다.
설명
이윤은 단지 잉여가치에서만 창출되는가?
순서
이윤은 단지 잉여가치에서만 창출되는가?
자본가들은 이윤이 유통과정에서 발생한다고 말한다. 자본은 계속 축적되어야하는데 그렇지가 않다. 그러면 결국 모든 사람이 이익을 얻어야하는데 그렇지가 않다. 어떻게 하지? 모르겠다.
레포트 > 기타
Download : 이윤과 잉여가치.hwp( 27 )





노동자는
잘 모르겠다. 그런데 만약 기계가 옮겨놓는 가치가 기계를 만들 때 소모된 사회적 노동시간보다 훨씬 많다면? 그러면 기계에 의해서도 가치가 창출된다고 할 수 있지 않겠는가? 어떻게 된거지? 그러면 기계에 의해 창출된 가치만큼은 당연히 자본가의 몫이 될 수 있지 않겠는가? 아니 가치는 노동에 의해, 노동이 기계를 움직이니까 옮겨지는거니까 그 역시 노동에 의해 창출된다고 할 수 있나? 에라 모르겠다. 그런데 가치는 노동에 의해서만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