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학생의 문해매체 선정 전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21:53본문
Download : 시각장애학생의문해매.hwp
시각장애학생이 무조건 점자를 습득해야 했던 전통적인 교육 관행이 변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논문은 문해매체 선정 원칙과 선정 절차를 우리 나라 시각장애학교 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몇 가지 제언하고자 한다.
설명





정수화(1998). 시각장애학교 저시력학생의 장애 상태와 학습 環境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경산: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Ⅲ. 문해매체 선정 절차
최운실·백은순·최상근(1989). 한국인의 문해實態 조사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시각장애학생의 문해매체 선정 전략
순서
Ⅳ. 문해매체 선정 시행을 위한 제안
박수억(2001). 서울지역 중학교 졸업반 학생의 문해 수준 分析.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2. 문해도구 다중성의 원칙
3. 기초 문해 우선의 원칙
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잔존 시력을 활용해야 한다는 관점을 받아들이는 시각장애교육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정수화(1998)의 조사연구에 의하면, 시각장애학교에서 묵자를 사용하는 대상학생 409명 중 265명(65%)은 학생 자신이 문해매체를 결정한다고 응답했으며, 95명(23.23%)은 담임교사, 48명(11.74%)은 부모가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립특수교육원(김은주 외, 2002)이 밝힌 시각장애학생의 기초 학력 부진은 근본적으로 읽기․쓰기교육의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학생에게 적절한 문해매체를 체계적으로 선정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시각장애학교의 저시력학생들도 점자를 학습하는 대신 확대독서기, 확대문자, 저시력기구 등을 선호하는 경향이다. 그러나 저시력학생이라고 해서 무조건 점자를 교육하지 않으려는 시각장애학교의 새로운 교육실제도 점검되어야 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우리 나라 시각장애학교에서도 문해 위기가 초래될 위험이 있다아 1980년대까지만 해도 시각장애학교 학생들은 잔존 시력에 상관없이 점자를 학습했다. Ⅱ. 문해매체 선정 원칙
1. 1차 선정 단계
4. 매체-대상 합치성의 원칙
시각장애학생 문해매체 시작장애학교 문해교육
Download : 시각장애학생의문해매.hwp( 65 )
윤복남(1990). 한국 문해교육의 사회사적 고찰. 미간행 박사학위 청구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임안수·박중휘(2002). 시각장애학생의 점독 속도에 관한 연구. 시각장애연구, 18, 27-41.
1. 학생 개별화의 원칙
Ⅰ. 서 론
2. 후속 선정 단계
이해균(2003). 저시력학생용 교재 개발을 위한 적정 확대문자 연구. 특수교육학 연구, 37(4), 123-142.
시각장애학생 문해매체 시작장애학교 문해교육 / 김은주·김동일·박경숙·안수경 (2002). 한국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박수억(2001). 서울지역 중학교 졸업반 학생의 문해 수준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윤복남(1990). 한국 문해교육의 사회사적 고찰. 미간행 박사학위 청구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해균(2003). 저시력학생용 교재 개발을 위한 적정 확대문자 연구. 특수교육학 연구, 37(4), 123-142. 임안수·박중휘(2002). 시각장애학생의 점독 속도에 관한 연구. 시각장애연구, 18, 27-41. 정수화(1998). 시각장애학교 저시력학생의 장애 상태와 학습 환경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경산: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최운실·백은순·최상근(1989). 한국인의 문해실태 조사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시각장애학생 문해매체 처음 장애학교 문해교육 / 김은주·김동일·박경숙·안수경 (2002). 한국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分析 연구.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본 논문은 적절한 문해매체 선정이 시각장애교육의 key point(핵심) 과제임을 강조하면서 우리 나라 시각장애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각장애학생 문해매체 선정 전략(strategy)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아 이를 위해 우선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문해매체 선정의 주요 원칙을 규명하고 문해매체 선정 절차를 기술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시각장애교육 실제의 최근 change(변화)에 있어서 주목되는 문제는 적절한 선정 절차를 밟지 않고 학생이 임의로 문해매체를 선정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