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인접권의 종류와 효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11:34
본문
Download : 저작인접권의 종류와 효력.hwp
예를 들어 음악 저작물의 경우 작사·작곡자는 저작권을 소유하는 데 반해 연주자나 가수, 음반제작자(제작 회사) 등은 저작 인접권을 소유한다.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는
순서
저작인접권,종류,효력
Download : 저작인접권의 종류와 효력.hwp( 31 )
저작인접권의 종류와 효력
6. 저작인접권 事例
4. 저작인접권의 제한, 양도, 행사 등
3. 저작인접권의 보호기간





1. 저작인접권
다. 저작인접권은 50년간 존속하며, 저작인접권의 제한·양도·등록 등은 대체로 저작재산권의 경우와 동일하게 취급한다. 실연자는 그의 실연을 녹음·녹화하거나 사진으로 촬영할 권리를, 음반제작자는 음반을 복제·배포할 권리를, 방송사업자는 그의 방송을 녹음·녹화·사진 등의 방법으로 복제하거나 동시중계방송할 권리를 가진다.
설명
출처
2. 저작인접권의 통칙
저작인접권의 종류와 효력
1. 저작인접권
5. 저작인접권의 보호내용
[] 저작인접권의 종류와 효력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저작권에 인접한 저작권과 유사한 권리로 저작물의 실연자, 음반제작자, 방송사업자 등이 소유하는 권리를 말한다. 실연자, 음반제작자 및 방송사업자는 저작물을 직접 창작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일반인이 창작물을 온전하고 풍부하게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매개 역할을 한다. 즉 저작물의 해석과 재현에 기여할뿐만 아니라 이런 행위가 없다면 비록 완벽한 저작물이라도 충분히 일반 이용자에게 전달될 수 없기 때문에 저작권법에서 보호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