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이 만난 역사 -제주4.3 미술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04:38
본문
Download : 미술이 만난 역사 -제주43 미술운동-.hwp
다. 즉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운동이라는 큰 틀의 흐름 속에서 과정상의 운동성이라는 공통점이 그것이다.
엄밀하게 말해 본 연구와 공동으로 진행되고 있는 5·18미술, 미술운동과 4·3미술은 겹치면서 나뉘는 각각의 property(특성)이 있다 5·18미술은 歷史(역사)적 사건의 와중에서 생산되어진 당대성(사건의 와중에서 실제 제작되고 사용된)을 포함하고 있다면 4·3미술은 짧게는 40년 전, 길게는 50년 전까지의 실제 사건과의 시간적 시차 즉 歷史(역사)적 단절을 겪고 그를 대상화한 작품들이기에 서로 다른 property(특성)이 있으며, 서로 공통적인 property(특성)은 5·18미술운동과 마찬가지로 은폐되고 삭제 당한 歷史(역사)적 진실을 폭로, 알리는 현재진행형의 운동성을 지니고 있다는 지점이다. 그러므로 歷史(역사)를 재료로 한 생산된 이미지에는 지나가 버린 歷史(역사)의 기억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며, 망각되어진 歷史(역사)의 호출은 그 歷史(역사)적 사건 내에서 해결되지 못한 과제課題를 해결하거나, 새롭게 재구성되어 어떤 에너지로 활용할 당대적 인식, 시각에 의해 재현되는 것이다. 18세기 다비드의 프랑스혁…(省略)
미술이 만난 역사 -제주4.3 미술운동-
Download : 미술이 만난 역사 -제주43 미술운동-.hwp( 27 )
up미술이만난역사
`제주 4.3 미술운동의 역사와 현재`를 주제로 한 내용 입니다.
순서
레포트/예체능
1. 미술이 만난 歷史(역사), 歷史(역사)가 배태한 4.3미술
2. 歷史(역사)미술로서의 4.3미술
3. 4.3미술운동의 약사
4. 4.3미술은 어떻게 歷史(역사)를 기억하는가?
5. 4.3미술작품전 연보(1988˜2003)
1. 미술이 만난 歷史(역사), 歷史(역사)가 배태한 4.3미술
‘4·3미술’ 또는 ‘4·3미술운동’이란 용어의 사용은 적절한가? 하는 문제부터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즉 본 연구에서 ‘4·3미술’이라는 용어가 지칭하는 함의 또는 관념은 타당한가를 먼저 확인하고 볼일이다. 미술사에 나타난 서구에서의 歷史(역사)화는 르네상스 이후 18세기말 19세기 초까지 서구미술의 가장 중요한 장르화의 하나가 된다된다.up미술이만난역사 , 미술이 만난 역사 -제주4.3 미술운동-예체능레포트 ,
,예체능,레포트
설명






`제주 4.3 미술운동의 역사와 현재`를 주제로 한 내용 입니다. 그리고 歷史(역사)미술은 歷史(역사) 그 자체가 아니라 歷史(역사)의 기억을 재현 또는 비재현적 방법으로 호출하는 이미지(오브제를 포함한)인 것이다.
‘歷史(역사)미술’ 즉 ‘歷史(역사)화’란 근대미술 이후에 미술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내용적 장르 중의 하나이다.
4·3미술이라고 할 때 그 관념은 무엇인가? 우선 직설적으로 표현하면 ‘4·3미술은 4·3이라는 실제 했던 歷史(역사)적 사건·사실에서 비롯된 歷史(역사)미술’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필자는 4·3미술을 歷史(역사)미술이라는 범주 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