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적 자연주의(홉스와 듀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0 10:59
본문
Download : 윤리적_자연주의(홉스와_듀이).hwp
레포트/기타
윤리적,자연주의,홉스와,듀이,기타,레포트
윤리적 자연주의(홉스와 듀이)
설명
윤리적_자연주의(홉스와_듀이)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다시 말해서 형이상학적인 도덕적 가치는 존재하지 않으며 觀察(관찰) 가능하고 계량 가능한 자연적 대상…(To be continued )
다.
이 학파의 주도적인 인물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근대철학자인 홉스(Thomas Hobbes; 1588 ~ 1679)이며, 그 외에 현대철학자 중에서는 비엔나학파의 창시자이자 논리실증주의자였던 독일의 슐리크(Moritz Schlick; 1882 ~ 1936)와 미국의 행태주의자인 페리(Ralph Barton Perry; 1876 ~ 1975), 그리고 미국의 실용주의 철학자이자 도구주의자인 존 듀이(John Dewey; 1856 ~ 1952) 등을 들 수 있다
윤리적 자연주의를 지지하는 대부분의 현대철학자들은 자기들의 입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행태주의’(behaviorism) 심리학을 끌어들인다. , 윤리적 자연주의(홉스와 듀이)기타레포트 , 윤리적 자연주의 홉스와 듀이
<< 윤리적 자연주의 >>
도덕을 ‘마음의 상태’(a state of mind)로 환원하여 설명(說明)하는 것이 윤리적 주관주의라면, 윤리적 자연주의(ethical naturalism)는 도덕을 ‘인간 신체의 물리적 상태’(a physical state of the human body)로 환원함으로써 도덕을 육체의 부수적 현상, 즉 신체적 기능의 부산물로 간주한다. 윤리적 자연주의는 도덕적 가치를 평가하려고 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하나의 자연적 현상(우리가 보통 도덕이라고 부르는 행태적 경험들)을 기술(記述)하고 있을 뿐이라고 생각한다. 이 심리학은 물리적 신체와 그 행태만이 궁극적으로 실재하는(real) 것이며, 의식ㆍ가치ㆍ정신ㆍ비물질적 대상 등과 같은 다른 모든 것은 그것이 경험적으로 직접 觀察(관찰) 될 수 없는 한 단지 신체 활동의 부산물에 불과하다는 전제에 근거를 두고 있다
윤리적 자연주의는 도덕을 경험적 학문, 즉 생물학이나 사회학에 대비될 수 있는 자연과학 또는 사회과학의 한 부분으로 다루려고 한다. 윤리적 자연주의자는 초자연적 현상들이나 비자연적 성질들 및 윤리적 직관주의의 conclusion(결론)들, 특히 의무론적 직관주의 등을 쓸데없이 꾸며낸 것에 불과하다고 거부해버린다.
순서
Download : 윤리적_자연주의(홉스와_듀이).hwp( 48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윤리적_자연주의(홉스와_듀이)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