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에서의부패reality(실태) 와해결pla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1 15:48
본문
Download : 한국사회에서의부패실태와해결방안_2087996.hwp
이것을 반부패 7대 영역으로 구분
- 제도적 억제(Institutional Restraints)
사법부의 독립 및 efficacy성/ 입법부의 감시/ 검찰의 독립
- 정치적 책임성(Political Accountability)
정치경쟁 및 신뢰할 수 있는 정당/ 정치자금의 투명성/ 의회투표의 공개/ 재산공개의 실효성 제고 및 이해상충의 금지원칙
- 경쟁적 사부문(Competitive Private Sector)
경제정책개혁/ 독점의 경쟁적 재구조화/ 진입규제의 단순화/ 기업지배구조의 투명화
- 공공부문 관리(Public Sector Management)
실적주의 및 보수수준제고/ 예산개혁/ 조세개혁/ 책임있는 분권화 촉진
- 市民사회참여(Civil Society Participation)
정보의 자유, 입법공청회, 언론과 NGO의 역할 강화
- 교육과 윤리의식 제고(Education and Ethics Enhancement)
부패방지를 위한 학교 및 사회교육 강화, 부정이 없는 사회·부패를 눈감아 주지 않는 사회분위기 조성
- 국제적 협력(International Coalition)
OECD뇌물방지협약의 이행과 확산에 대한 책략적 대응, 반부패분야 주요 국제민간기구의 상황 및 활동방향에 대한 종합정보체계 수립
2. 해결대안
(1) 개인차원의 신뢰성 확보
∙수요자에 의한 부패감시 통제기능 강화
∙공익제보자 보호 및 보상 활성화
(2) 조직차원의 투명성 확보
∙부패유발적 행정구조 개혁:부패취약분야
∙정보공개 및 외부감시 강화
∙평가와 환류통한 공공부문 개혁 강화
(3) 文化(culture) 차원의 청렴성 확보
∙전반적…(To be continued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한국사회에서의부패실태와해결방안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한국사회에서의부패실태와해결방안 , 한국사회에서의부패실태와해결방안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한국사회에서의부패reality(실태) 와해결plan
순서
한국사회에서의부패reality(실태) 와해결plan
Download : 한국사회에서의부패실태와해결방안_2087996.hwp( 34 )
8) 부패 척결을 위한 노력
1. 부패척결을 위해서는 사법제도, 정치체제, 市民자유의 improvement과 공공분야의 효율적 관리 외에도 국가의 모든 영역이 다양하게 참여하고 협력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사회에서의부패reality(실태) 와해결plan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