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및 교수 학습지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3 03:18
본문
Download :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및 교수 학습지도.hwp
심화·보충형 교육과정은 기본학습 내용과 심화내용으로 편성하되 기본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생을 위해서는 보충학습을 하고 기본학습보다 더 심화된 내용을 필요로 하는 학생에게는 심화학습을 열린교육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지도 한다. 학생들이 한 학기(하위 1단계)를 학습한 다음 학습목표(goal)를 달성하지 못하면 다음 단계로 진급을 하지 못한다. 영어의 경우 초등학교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하고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는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적용하도록 되어 있따 그리고 고등학교 2, 3학년은 과목 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적용된다된다.
Ⅰ. 영어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定義(정이) 개요 1
1. 영어과 수준별 교육 과定義(정이) 개요 1
2. 영어과 수준별 교육의 理論적 배경 2
3. 영어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3
4. 영어과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방안(方案) 4
Ⅱ.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定義(정이) 운영 방안(方案) 5
1. 영어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定義(정이) 운영 방안(方案) 5
2. 영어과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定義(정이) 운영 방안(方案) 24
Ⅲ. 영어과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資料)의 개발 방향
1. 영어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定義(정이) 교수-학습 자료(資料) 개발 방향 38
2. 영어과 심화 학습 자료(資料)의 개발 방향 38
3. 영어과 보충 학습 자료(資料)의 개발 방향 39
4. 영어과 특별 보충 학습 자료(資料)의 개발 방향 40
Ⅳ. 영어과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資料)의 실제 42
1.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資料)의 구성 원칙 및 활용 방안(方案) 42
2.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資料)의 실제 43
참 고 문 헌 .....................................................................................................68
Ⅰ. 영어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定義(정이) 개요
1. 영어과 수준별 교육 과定義(정이) 개요
2001년도부터 적용되는 7차 교육과定義(정이) 특징중의 하나는 수준별 교육과定義(정이) 도입이라고 할 수 있따 수준별 교육과정은 교과의 성격이나 학교급(학년)의 특징에 따라 단계형, 심화 보충형, 그리고 과목 선택형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편성, 운영된다된다. 과목 선택형 교육과정은 선택의 선행조건을 요구하지 않는 일반 선택 과목들과 선행 조건을 요구하는 심화 선택과목들이 제시되며 학생들이 이 중에서 자신의 적성, 관심, 흥미, 진로, 능력 수준에 적절한 과목을 일정한 범위안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교육과정이다. 유급은 각 하위 단계마다 1번씩만 허용…(To be continued )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및 교수 학습지도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및 교수 학습지도 영어과수준별교육과정 ,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및 교수 학습지도사범교육레포트 ,
순서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및 교수 학습지도
레포트/사범교육
영어과수준별교육과정
Download : 영어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및 교수 학습지도.hwp( 54 )
,사범교육,레포트
설명






다.
단계형 교육과정은 교과의 내용 요소간의 위계가 비교적 분명하고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자의 이전 학습에서의 결손이 이후 학습에 큰 influence(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교과에만 적용하는 것으로서 교육내용을 단계별로 편성, 운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따 영어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4단계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각 단계별로 학기를 단위로 하는 2개의 하위단계(7A, 7B--10A, 10B)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8단계로 편성되어 있는 것과 같다. 단계형 교육과정은 무학년제 교육과定義(정이) 편성을 의미하며, 이의 운영을 위해서는 유급제가 도입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