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홍련전에 대한 남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30 12:58
본문
Download : 장화홍련전에 대한 남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hwp
그는 전처 자식을 학대하여 죽이면서 희열을 느끼는 가학증(加虐症)의 인물인 것이다. 그러므로 사사건건 시기심(猜忌心)을 발동하여 긴장상태를 야기 시킨다. 심리학자 융은 `심한 콤플렉스에 지배되어 있는 사람은 어머니가 말하는 것, 느끼는 것 전부에 퍽 민감하며, 어머니의 모습이 늘 그의 마음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고 언급한 바 있다 장화·홍련의 고난 극복방법은 어머니를 향한 `정신적 逃避` 밖에 다른 도리가 없게 된다된다.






다. 작품 속에서는 용렬한 사람 또는 미련한 사람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는 가부장중심사회에서의 가장이지만, 이러한 성격으로 인해 중간적 존재로서 화해와 조정이 소임을 떠맡지 못하고 가정을 파국으로 몰고 간다. 또 그는 사디즘(sadism)의 병자이기도 하다. 계모 허씨의 경우 극도의 `열등 콤플렉스`에 휩싸인 인물로 묘사된다된다. 장화홍련 , 장화홍련전에 대한 남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장화홍련
정말 많은 책과 많은 논문을 참고하여 직접 쓴 레포트(report) 이고,
장화홍련전에 대한 남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
Download : 장화홍련전에 대한 남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hwp( 54 )
순서
Ⅰ 서론
Ⅱ 본론
1. 「薔花紅蓮傳」의 이해
2. 남북한문학사 기술의 특징
1) 남한문학사 기술의 특징
① 서구이론(理論)에 바탕한 본격문학 추구
② 문인 작품위주로 기술
③ 민족문학적인 순수문학 성향
2) 북한문학사 기술의 특징
① 철저한 당의 노선과 수령의 교시에 의해 기록
3. 남한문학사에서 「장화홍련전」에 대한 가치평가
1) 인물의 전형성
2) 갈등의 양상
3) 갈등극복의 양상 - 애정상실의 회복을 위한 노력
4) 갈등현상의 사회적 의미 - 가부장제도의 붕괴
5) 부모와 자식간 상하주종관계의 모순
6) 권성징악의 결말
4. 북한문학사에서 「장화홍련전」에 대한 가치평가
1) 인물들의 사상적 경향
2) 인물간의 갈등 양상
3) 가정 윤리적인 문제
Ⅲ conclusion(결론)
3. 남한문학사에서 「장화홍련전」에 대한 가치평가
1) 인물의 전형성
「장화홍련전」은 극심한 어머니 콤플렉스의 소유자들이다. 따라서 지나친 열등감에 빠져 있는 허씨는 이에서 탈피하기 위해 돌파구를 찾게 되고, 그 돌파구로 찾아낸 것이 바로 `전처 소생에 대한 학대`이다. 따라서 수동적이고 무기력하며 우유부단한 인물로 그려진다. 그리고 상황 수용적 인물로 묘사된다된다. 허씨는 융의 이론(理論)에 의하면 `퍼소나`와 `퍼슨낼리티`의 부조화로 인해 갈등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트러블메이커이다.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방송통신대학 국어국문학과 4학년 국문학연습 assignment입니다. 이러한 왜곡된 성격과 태도가 계모 허씨의 마음을 더욱 더 자극하게 되고 갈등을 점점 더 심화시키게 된다된다. 배좌수는 중간적 인물이다.
,인문사회,레포트
참고로 30점 만점 A+ 받았습니다^^*
설명
방송통신대학 국어국문학과 4학년 국문학연습 과제입니다.
2) 갈등의 양상
「장화홍련전」은 죽은 전처를 잊지 못하며 장화자매에 대한 정이…(생략(省略))
제 땀과 정성이 담긴 노력의 결실이라 생각합니다.참고로 30점 만점 A+ 받았습니다^^*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는 어떻게 보면 神콤플렉스(god-complex)에 의해 지배를 받고 있는 인물로 간주된다된다.정말 많은 책과 많은 논문을 참고하여 직접 쓴 레포트이고,제 땀과 정성이 담긴 노력의 결실이라 생각합니다. 전부사(田府使)는 공명심이 드높고 조선의 유교적 윤리에 집착하는 전형적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전부사는 폐읍이 다 된 마을에 군수로 자원할 만큼 담대하고 용맹 있는 인물일 뿐만 아니라 선악의 구별이 뚜렷하고 정이감이 강한 인물이기도 하다.